카테고리 없음

2025년 희망리턴패키지 원스톱폐업지원 소상공인 모집 -원스톱폐업지원

무상13 2025. 3. 18. 18:50


대한민국 정부는 소상공인의 폐업 부담을 줄이고 재기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"2025년 희망리턴패키지 원스톱폐업지원" 사업을 발표했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폐업과 재도약을 돕기 위한 종합 지원책으로, 2025년 1월 17일부터 12월 31일까지 원스톱패키지(원스톱폐업지원)로 운영됩니다. 아래는 이 사업의 세부 내용, 지원 대상, 신청 절차, 혜택, 그리고 중요 사항을 상세히 정리한 내용입니다.

사업 개요

"2025년 희망리턴패키지 원스톱폐업지원"은 소상공인의 폐업 과정을 간소화하고, 폐업 후 재기를 돕는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입니다.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주관하며, 소상공인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새로운 도전을 장려합니다. 이 사업은 2025년 예산안에서 소상공인 지원 부문에 포함되어, 약 1조 5천억 원 규모로 운영될 예정입니다.

지원 대상

  • 대상: 대한민국에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는 소상공인(개인사업자 및 소규모 법인 포함).
  • 조건:
    • 2024년 12월 31일 이전에 사업을 운영 중이어야 함.
    • 폐업 의사를 가진 소상공인(자발적 폐업 또는 부득이한 사정으로 폐업 예정).
    • 부채 상환 능력이 없는 경우, 또는 폐업 후 재기 의지가 있는 경우 우선 지원.
  • 제외 대상: 부정 수급자, 타 지원 프로그램과 중복 수령자, 법적 분쟁 중인 사업자.

주요 혜택

  1. 원스톱 폐업 지원
    • 폐업 절차 간소화: 세무, 노무, 상권 분석 등 행정 절차를 한 번에 처리.
    • 무료 법률/세무 상담: 전문가 상담을 통해 부채 정리 및 세금 문제 해결 지원.
    • 폐업 비용 지원: 최대 500만 원 한도로 폐업 관련 비용(임대료 정산, 장비 처분 등) 보조.
  2. 재기 지원 패키지
    • 재기 교육: 창업 교육, 직업 훈련 프로그램(총 50시간 이상) 무료 제공.
    • 재기 자금: 최대 3,000만 원 한도의 저리 대출(연 2% 이하, 5년 상환).
    • 상권 재진입 지원: 새 사업 아이디어 발굴 및 상권 분석 서비스 제공.
  3. 심리·상담 지원
    • 폐업 후 스트레스 관리: 심리 상담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.
    • 커뮤니티 네트워크: 재기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소상공인 모임 참여 기회.

신청 절차

  1. 온라인 신청: 중소벤처기업부 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(www.kbiz.or.kr) 신청서 작성.
  2. 필요 서류: 사업자등록증, 폐업 의사 확인서, 재무 상태 자료(부채 및 자산 내역).
  3. 심사: 신청 후 2주 이내 심사 완료, 결과는 SMS 및 이메일로 통보.
  4. 지원 시작: 승인 후 1개월 내 지원금 지급 및 프로그램 참여 시작.

유의 사항

  • 신청 마감: 2025년 12월 31일까지(연중 상시 접수,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).
  • 부정 수급 시 페널티: 지원금 반환 및 3년간 지원 제외.
  • 상담 예약 필수: 지역 소상공인 상담소(전국 17개소) 방문 전 예약 요망.

사업 배경 및 기대 효과

최근 몇 년간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이 더뎠던 소상공인들이 폐업을 선택하는 사례가 증가했습니다. 이에 정부는 2023년부터 시범 운영된 "희망리턴패키지"를 2025년에 대폭 확대한 형태로 재정비했습니다. 이 사업은 폐업 후 좌절감을 줄이고, 재기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소상공인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. 특히, 2025년 예산안에서 소상공인 지원이 15% 증가한 점은 이 사업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. 예상 효과로는 약 5만 명의 소상공인이 혜택을 받고, 재기 성공률이 30% 이상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 

결론

"2025년 희망리턴패키지 원스톱폐업지원"은 소상공인의 폐업 부담을 덜어주고 재기를 지원하는 정부의 대표적인 복지 정책입니다. 신청을 원하는 소상공인은 서류 준비와 상담 예약을 서둘러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프로그램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,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.